본문 바로가기
투자

[ETF] 2차전지 관련주에 한번에 투자하자

by 뚱르 2022. 1. 23.
반응형

ETF는 'Exchanged Traded Fund'의 약자로, 펀드와 같이 여러 종목으로 구성되어 해당 ETF를 구매하면 관련 종목들에 분산투자를 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펀드에 비해 사고 파는것이 편리하고, 수수료가 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연금저축 계좌에서 장기투자 할만한 ETF를 꾸준하게 조금씩 매수하고 있습니다.
개별 종목 투자의 경우, 해당 종목에 대한 뉴스를 확인하고, 재무재표를 찾아보고, 현재 주가가 낮은편인지 높은편인지 등 개별 종목에 대한 공부를 계속 해야합니다. 하지만 ETF의 경우에는 전문가들이 일정 시기가 되면 리밸런싱을 하기 때문에 2차전지 관련 ETF를 투자한다면, 2차전지 산업이 어느정도 발전했고 앞으로의 전망은 어떨지 정도만 파악하셔도 쉽게 투자 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주식을 시작한지 얼마 안되신 분에게 더욱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4차산업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빠질 수 없는 두가지를 꼽자면 반도체와 배터리입니다. 특히 배터리는 친환경 전기차의 성장세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대표적인 우리나라 배터리 관련 기업은 이번에 상장한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한 종목을 투자할 경우 더 큰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배터리 화재 또는 물적분할 같이 예상치 못한 리스크로 인해 큰 손실 또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제 경우에는 산업 자체가 커지는 분야이므로 개별 종목보다는 2차전지 ETF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2차전지 관련 ETF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미래에셋의 TIGER KRX2차전지K-뉴딜 입니다. 2020년 10월 7일 상장 되었고, 펀드보수는 연0.4퍼센트입니다. 총 규모는 현재 기준 5100억원 정도입니다. 펀드 구성종목을 살펴보면 배터리 3사의 비중이 70퍼센트 종목이고, 음극재 및 양극재 소재 기업들이 포함되어있습니다.


다음 ETF도 미래에셋에서 운용하는 TIGER 2차전지테마 ETF입니다. 상장은 2018년 9월12일에 하였고 펀드보수는 0.5퍼센트입니다.

2차전지테마ETF는 KRX2차전지뉴딜에 비해 배터리 3사의 비중이 적고 다른 소재 기업들과의 비중이 균형적인 편입니다. 저는 이미 시총이 매우 큰 배터리 3사의 전망도 좋지만 소재기업들의 성장 또한 좋을 것으로 판단하여 2차전지테마 ETF를 매달 조금씩 매수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ETF는 삼성증권에서 운용하는 KODEX 2차전지산업 ETF입니다. 2차전지산업 ETF도 2차전지테마 펀드와 마찬가지로 2018년 9월12일에 상장하였고 펀드보수는 0.45퍼센트입니다.

펀드구성을 살펴보면 TIGER2차전지뉴딜 펀드와 비슷하게 배터리 3사의 비중이 큰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3개 ETF 모두 장기적으로는 좋은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상장일이 오래되었고 펀드 규모가 큰 TIGER 2차전지테마 또는 KODEX 2차전지산업 ETF 중에서 배터리 3사의 비중에 대한 판단을 하셔서 매수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최근 LG화학에서 물적분할된 LG에너지솔루션이 1월 27일에 상장됨에 따라 2차전지 ETF 포트폴리오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포트폴리오의 변화에는 2가지 경우가 예상됩니다.
1. LG화학을 제외하고 LG에너지솔루션을 편입
2. LG화학의 비중을 줄이고 LG에너지솔루션을 편입

1번의 경우에는 LG화학에 대한 대량 매도가 발생하고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한 대량 매수가 들어와 해당 종목의 주가 등락이 크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2번의 경우에는 LG화학도 배터리 소재 사업이 여전히 남아있으므로 관련 ETF에서 비중이 약간 줄어들긴 하지만 계속 ETF에 남아있고 LG에너지솔루션도 일부 포함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두 종목에 대한 등락은 크지 않을 수 있지만 ETF에 포함된 다른 종목들의 비중 조절로 인해 많은 매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때문에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경우 좀더 시장상황을 살피며 유의해야 할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ETF의 경우 펀드매니저들이 알아서 비중 조절을 할 것이므로 장기 투자자의 경우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제 투자 관련 글은 개인적인 의견을 정리한 것일뿐, 투자는 꼭 여러 의견을 참고하시어 공부한 후 스스로 결정하셔서 하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